멤브레인 공정기반 수처리 연구의 선도주자
급격한 산업의 발전 및 도시화 현상에 따라 산업으로부터 발생되는 새로운 오염물질의 종류의 발생과 오염물질 배출의 집중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수계에 문제가 되고 있는 현안 및 신규오염물질을 중심으로 파악하고 스마트 대응 기술(smart response technology, SRT)의 적용을 위한 이론 및 실제 적용사례 등을 학습하며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른 최적 SRT의 도출 및 적용 방법 및 관련 사례에 대해 학습- 현안 및 신규 오염물질(미세 플라스틱, 미량 유해물질 등): 발생원인, 분포현황, 이동형태, 문제점 등에 대해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파악- 스마트 대응기술(AOP, 활성탄흡착, 멤브레인 등 기존 ...
최근의 데이터 기반 공정제어 및 공정 효율성 분석기술의 발전은 상수 및 하수 처리 공정에 있어 처리 효율성 향상과 운영비용 절감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하지만, 물산업 분야에서 이러한 빅데이터기술의 활용은 아직 활발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상수 및 하수처리 공정에서 생산되는 데이터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반영하지 못함에 기인하며 이러한 데이터 과학에 대한 부족한 배경지식 또한 그 이유라 할 수 있음. 대부분의 상수 및 하수 처리 공정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는 비선형, 비정상, 자기상관 및 공동상관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 경우 (i) 제 1원칙을 사용하여 모델링하기가 매우 어렵고 (i...
기후변화, 지구온난화 등으로 가속화되는 수자원의 양적, 질적 저하에 대처하기 위한 멤브레인 수처리공정에서 1) 미시적 관점에서 멤브레인 모듈 내 유체 및 용질의 이동현상을 기존 및 최신 이론을 통해 파악하고 2) 거시적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멤브레인 공정을 운영 및 유지관리하기 위한 핵심 디자인 요소들을 파악하고 설계 소프트웨어를 통해 다양한 경우의 외부 및 내부환경 변화에 적합한 공정 디자인을 설계이동현상(소개, 추진력, 다공성막에서의 이동현상, 비다공성막에서의 이동현상, 이동현상 통합 접근법, 이온교환막에서의 이동현상 등)공정디자인(모듈디자인 비교분석, 시스템 디...
현재 이슈화 되고 있는 정수처리의 고도화 및 하수재이용 시 활용되는 고도 수처리 공정에 대해 강의한다. 물리적 처리 단위공정, 화학적 처리 단위공정, 생물학적 처리 단위공정에 대한 이론 및 설계방법에 대해 교습한다. 또한 물질전달론 및 물재생산업 적용 모델에 강의한다.
현재 수처리 기법 중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에 대해 강의한다. 분리막 공정을 활용한 정수처리, 하수처리, 해수담수화, 하수재이용 공정에 대한 이론 및 설계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각각의 실제 사례를 교습한다.
대체 수자원 확보를 위한 다양한 공종 중 분리막을 활용한 대체 수자원 처리 플랜트에 대해 강의한다. 정수처리, 해수담수화, Hybrid 막여과 설계 기술을 강의하고, 시설 운영 및 유지 관리 기법에 관해 교습한다. 또한 차세대 막여과 기술에 대해 강의한다.
현재 수처리 기법 중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분리막에 대한 제조에 대해 강의한다. 기본적인 분리막의 특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각 분리막의 제조기법의 기초와 기법에 때른 분리막의 특성 변화 등을 교습한다.
상수관망의 설계를 위한 수리학적 모델링 기법을 이해하기 위한 관수로 이론을 바탕으로, 상수관망 설계를 위한 소프트웨어 활용법을 강의한다. 또한 상수관망의 관 파괴와 같은 사고에 따른 피해의 산정을 기반으로 한 취약성 분석 및 PI를 산정하는 법을 강의한다.
대체 수자원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 중 빗물을 이용하는 중수도 시스템의 이론과 실제 사례를 교습한다. 빗물 관리의 실천사례, 기후변화 및 빗물관리 현황과 미래, 빗물처리 기술적 이해, 빗물 이용시설의 설계 및 운영관리 기술에 대한 이해 등을 강의한다.
생물막 공정의 구성, 이해 그리고 모니터링 기술에 대해서 배우며 전기화학적 방정식의 설계와 개념에 대한 공부를 한다. 수질, 수량 모니터링을 위한 전기화학적 센서에 대해 개론을 공부하고 바이오파울링의 특징과 개념을 익힌다. 또한 고농도 유기물과 중금속 유해물질 제어 방안에 대하여 배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