멤브레인 공정기반 수처리 연구의 선도주자
미생물 기초와 생물학적 수처리 이해를 바탕으로 수처리 응용을 위한 Biotechnology 요소 기술을 습득하고 Biotechnology를 이용한 고도수처리 공정의 이해와 설계에 대해서 공부한다. 그리고 Biotechnology 를 이용한 수처리 응용의 정용사례에 대해서 배운다.
물재생산업 기술의 개요 및 현황에 대해서 공부하며 특히 하폐수의 특성과 처리공정 그리고 생물학적 영향소 제거 공정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토대로 MBR 공정 막여과 설계 기술과 공정 효율 향상 기술을 습득한다.
미생물 기초와 생물학적 수처리 이해를 토대로 수처리에 적용 기술에 대한 이해와 생물학적 처리를 이용한 수질 유해물질 처리이론과 생분해 biokinetics 및 모델링을 학습한다. 또한 미생물 기반의 emerging contaminants 제어 기술에 대하여 배운다.
환경 융복합 기술 (NT, BT, ET)을 적용한 유해물질 처리 및 모니터링 기법을 배우고, 다중 수원 (해수, 지표수, 재이용수, 빗물 등) blending 기술, micro/meso/macro 그리드의 이해, 관망의 설계/운영/시공 /모니터링 기법에 대해 강의한다.
해양 심층수를 활용하기 위해 해양환경의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 해양 심층수 개발 현황 및 향후 발전 방향, 대규모 취수 방법, 해양 온도차 발전원리 및 설계/시공 사례, 소규모 담수화 원리 및 응용에 대해 강의한다.
고도의 공업용 수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초순수를 제조하는 기법을 배운다. 초순수의 증류, 제조공정, 초순수 공정의 유지관리 기술, 초순수 저장 기술, 향후 개발될 차세대 극초순수와 전자 및 바이오 기술 발전 관계에 대해 강의한다.
환경유기화학은 자연상태 또는 엔지니어링 시스템에서 유기화합물질의 거동을 결정하는 환경요인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통하여 유기화합물질들의 환경겨동을 정량적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또한 유기화합물질의 다양한 매체간 분배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며 다양한 케이스 해석을 통하여 환경적으로 고간련된 문제들을 해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수질화학은 자연화녁ㅇ 또는 환경시스템과 과녈ㄴ하여 물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반응의 속도와 평형에 대한 이론과 응용을 공부하는 과목으로 산염기 반응, 착화반응, 산화환원반응 등 가장 기본적인 화학반응에 대한 이론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들은 자연수계에서 일어나는 다앙한 화학반응을 이해하는데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또한 많은 화학적, 생물학적 수처리 공정에서 공정의 최적설계를 위한 이론적인 기초를 제공한다.
수질유해물질 관리는 자연수계로 배출되는 독성 유해물질들의 기술적인 처리와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수계에서의 환경 거동을 예측 또는 해석하기위한 모델링도 이 과목의 주요 내용의 하나이다. 또한 수질유해물질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현행 규제체계 및 정책방향 등도 포함하여 수질유해물질 관리를 위한 기술적 이론과 응용, 정책적 접근방안에 대한 이해 등을 함양하는데 목표를 두고있다.
생물학적 고도수처리는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미생물을 사용하여 하폐수를 처리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오염물질의 배출저감, 오염환경의 정화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과목에서 다루는 구체적인 토픽은 미생물학 기초, 생분해 속도론, 박테리아 에너지론 등 미생물학의 기본이론과 활성 슬러지공법, 질소, 인등 제거공정 등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처리공정에 관한 이론과 응용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