멤브레인 공정기반 수처리 연구의 선도주자
해양의 다양한 에나지 자원 및 각 자원의 취득 기술에 대하여 조사한다. 주요 자원은 바람, 파랑, 조석, 흐름 등이다. 에너지 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 분석 방법의 학습과 개발 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경제적 가치 향상의 기숙적 제도적 전략에 대하여 논한다.
환경보호 제도 및 자원의 관리에 대하여 학습하며 환경 보호를 위한 건전 시장의 전제 및 균형 특성, 자원재의 가치, 효울적 자원의 배분, 환경 경제 시장의 최대 수용 조건 등에 대하여 조사한다. 또한 환경으로부터 효율적 자원 이용 및 재활용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현대 사회의 도시에서 발생하거나 유입하는 환경 유해 인자에 대하여 학습하며 지속가능한 개발 개념을 따르는 쾌족하고 친환경적 생태 도시 환경을 계획하고 보호, 유지하며 조성하는 Smart 기술에 대하여 학습한다. 지속가능한 개발 개념과 업무연속성 확보 전략에 기초한 과학적인 모형의 수립과 이의 실행을 학습한다.
연안역 수질 환경과 생태 자원을 유지 보전하고 배후지의 생활 환경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과학기술적인 이론 및 방법론을 학습하여 사회 이슈화된 실제 문제에 적용하고 사회과학적인 측면에서의 해결점을 포함하여 최적의 해법을 논의한다. 또한 연안환경의 영향평가기술에 대하여도 학습한다.
댐, 여수로, 에너지 감쇄장치, 양수장, 수력발전소, 하천횡단 구조물 등 다앵한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안전성 해석을 다룬다. 교과목의 주제로서 댐 엔지니어링, 중력댐, 아치댐, 필댐, 여수로 및 감세지 설계, 댐 안전, 양수장, 발전소 교랭의 수리학적 안전성, 도수로의 설계 등이 포함된다.
도시 수자원 시스템 관리를 위한 지속가능성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을 목표로 한다.도시배수 시스템, 도시배수와 관련된 생태학적, 생물학적, 생물지지화학적 과정,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도시 물관리, 물 민감 도시설계를 위한 요소들, 도시 수량 및 수질관리, 혁신적 선진개념을 적용한 도시기반 시설 설계 등을 포함한다.
적응형 관리에 관한 이론적 측면과 수자원 관리에의 응용에 관하여 학습한다. 물과 적응관리, 적응형 물관리 정책, 복잡적응 시스템접근 방법론, 시스템 다이나믹스, 인공신경망, 퍼지이론, 유전자 알고리즘, 게임이론, 복잡계 네트워크 분석이론 등을 다룬다.
자원관리 정책에 관한 기초과목으러서 우리나라의 물관리 역사, 주요 국가의 물 관리체계, 국제적 물관리 정책, 복지정책으로서의 물 관리 정책, 수량확보 정책과 수질개선 정책의 관계 및 한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물관리 정책 등을 다룬다.
물 관련 산업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위한 경제학 원론을 학습한다. 교과목의 주제로서 물의 경제적 가치평가, 수자원 사업의 경제성 분석, 편익*비용분석법, 이자율과 할인율, 수요와 공급, 비용배분, 가상수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정보통신 기술에 대한 이해와 이를 하천 모니터링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교과목의 주제로서 스마트 통신기술, 센서 및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하천 모니터링, GIX 기술을 활용한 하천관리, 하천시설물 안전 모니터링 및 평가기술 등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