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여과시스템
막여과란?
분리막이라는 선택 투과기능을 갖는 여재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기술로서 막을 이용하여 기상 또는 액상의 홉합물을 막 양면의 농도차, 압력차, 전위차 등에 의해 분리, 농축, 정제하는 공정
막여과원리
막여과원리 확대보기
특징
- 탁도, 일반세균, 대장균군, 병원성 미생물 등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음
- 시설이 컴팩트 하여 넓은 면적이 필요하지 않음
- 공정운영시 자동화가 용이하며, 이를 통해 필요인력 비용절감
- 공사기간이 짧음
막의 종류에 따른 제거물질
막의 종류에 따른 제거물질 확대보기
막의 형태에 따른 장단점 비교
막의 형태에 따른 장단점 비교
평판형, 중공사형, 나권형, 관형, 모노리스를 안내합니다.
평판형 (Plate & Flame) |
- 장점 : 세정시 막과 모듈의 분리 용이, 손상된 부분의 분리가 쉬움, 조작오류에 덜 민감
- 단점 : 운전비가 비교적 높음, 투자비가 높음, 역세가 불가능
|
중공사형 (Hollow Fiber) |
- 장점 : 투자비가 낮음, 역세가 용이, 에너지소모 적음, 모듈 내 체류유량 적음
- 단점 : 고농도 부유물 함유 원수에는 부적절, 낮은 압력에서도 파열 우려, 운전상 민감
|
나권형 (Spiral Wound) |
- 장점 : 투자비가 낮음, 시스템이 compact 함, 중공사보다 높은 압력에 견딤, 모듈 내 체류유량 적음
- 단점 : 부유물질에 매우 민감, 점도있는 유체는 부적합, 세정이 어려움
|
관형 (Tubular) |
- 장점 : 전처리없이 적용가능, 높은 부유물 함유 폐수에 적용가능, 세정없이 장기간 사용가능
- 단점 : 투자비가 높음, 소요부지면적이 큼, 모듈 내 체류량이 많아 회수율 낮음
|
모노리스 (Monolith) |
- 장점 : 유로면적이 커서 고농도 현탁물질 함유한 원수에 적용 가능
- 단점 : 충진밀도가 작음, 운전방식이 내압식으로 한정
|
막의 형태에 따른 분류
평판형 (plate & flame) 모듈 - 침지형
중공사형 (hollow fiber) 모듈 – 가압형 / 침지형
나권형 (spiral wound) 모듈
관형 (Tubular) 모듈
모노리스 (Monolith) 모듈